Hotel, Resort, Dining and Fashion

2020. 7. 25.

이제는 매 시즌마다 메종 마르지엘라 스니커즈는 하나 이상씩은 꼭 구입한다. 넓은 의미에서 보자면 색상만 바뀌는, 디자인의 변화가 거의 없는데도 불구하고 시즌마다 하나 이상씩은 마음에 드는 것이 꼭 있다. 그리고, 그 대부분은 구입만 할 뿐 실제로 신고 다닌 적이 한 번도 없다.품번은 사진을 참고하기 바란다. 파페치에서 구입했었는데, 아마 세일할 때 구입했을 것이다. 페인트를 흩뿌린듯한 모델의 경우 대부분 가죽 위에 다양한 색상의 페인트를 흩뿌렸었는데, 이번에는 캔버스에 검은색 잉크를 흩뿌렸다. 가급적 흰 신발은 사지 않으려고 하는데, 처음에 홈페이지에서 사진을 보는 순간 정말 예뻐보여 구입하였다. 이런 종류의...

2020. 7. 20.

코로나 19 상황이 장기화 되다 보니 르 쉬느아에서도 예전 같으면 시도조차 하지 않았을 특선 메뉴가 나오게 된다. 일단 홈페이지 안내대로 7월부터 두 달간 진행될 특선 메뉴는 중국 동북 요리와 홍콩식 면 요리이다. 중국 8대 요리에 속하지 않는 동북 요리를 왜 뜬금없이 르 쉬느아에서는 선보였을까?Wok fried shredded potato, black vinegar르 쉬느아는 국내 관광객과 제주도민을 겨냥해서 만든 광동식 레스토랑이 아니라 생각한다. 만약 그런 의도였다면 지금보다 더 한국인에게 익숙한 요리들 위주로 메뉴를 만들었을 것이다. 사실 메리어트 리조트 내에 자리하고 있지만 소속은 또 메리어트 리조트가 아니어서...

2020. 7. 13.

코로나 19의 영향이 장기화 되다보니 메뉴 개편도 매우 제한적이다. 가뜩이나 한국에서 만날 수 있는 식재료의 제한이 큰데, 수입까지 원활하지 않다보니 새로 나온 딤섬 메뉴는 두 가지 뿐이었다. Pan - fried cabbage and shiitake mushroom dumplings한국에서 딤섬이라 하면 찐 딤섬류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런 팬 프라이드 뿐만 아니라 심지어 튀긴 것까지 그 종류는 매우 많다. 유 유안에서는 새로운 딤섬들을 꾸준히 한국에 소개하고 있지만 반응은 늘 부정적이다. 이 딤섬도 먹자마자 든 생각은 다음 메뉴 개편 때 사라질 것 같다는 것이었다. 이유는 간단한데 일단 찐 딤섬이 아니고,...

2020. 7. 9.

첫 방문은 사실 별 기대가 없었다. 단지 멤버십 할인 때문에 - 지금은 호텔 멤버십에 가입할 수 없다. - 가볍게 끼니를 떼우고 갈 생각으로 방문 했었지만 점심을 먹고 곧바로 그날 저녁을 예약한 뒤 이제는 매년 싱가포르에 방문하면 한 번은 꼭 들리는 레스토랑이다. 건물이 처음 지어질 때부터 호텔을 생각하고 지은 것은 아니기에 - 싱가포르에 다녀온 사람들은 잘 알겠지만 예전에는 우체국이었다. - 객실부터 다이닝까지 공간은 음식을 즐기기엔 좋은 환경은 아니다. 사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마치 연회장 한 켠에 가벽을 세운 듯한 분위기인데, 그래서 외부 소음 - 로비가 꽤 넓고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다 보니 혼잡하고 시끄러운...

2020. 7. 6.

작년부터 포시즌스 호텔 내 다이닝인 보칼리노와 유 유안은 분기별로 메뉴가 바뀐다. 전반적인 교체보다 부분적인 교체로 보면 되는데, 보칼리노의 이번 새 메뉴는 또 어떤 맛의 세계를 보여줄까? 요리 이야기를 하기 전에 다시 한 번 빵에 대해서 이야기 해야겠다. 한국에서 서양 요리를 판매하는 거의 모든 파인 다이닝들은 빵에 대해서 신경을 쓰지 않는 것인지 아니면 워낙 한국인들의 빵에 대한 개념이 남달라서 그런지 형편 없는 빵들을 만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제는 이런 이야기를 하는 것도 지겨운데, 그래도 꾸준히 이야기 하는 누군가는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빵을 만든다는 것이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며 특히 한국의 서양...